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이란? – 발생 원인, 증상, 치료, 예방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hypopituitarism)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뇌하수체기능부전증이라고도 부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이 무엇인지, 발생 원인, 증상, 치료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이란?

뇌하수체는 두개골 안에 있는 내분비 기관으로,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인간의 몸을 컨트롤하고 있습니다.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은 뇌하수체가 분비하는 호르몬 중 1종류, 혹은 복수의 호르몬 분비량이 감소함으로써 발생합니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8개의 호르몬 중,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성장 호르몬’ ‘황체화 호르몬’ ‘난포 자극 호르몬’ ‘프로락틴’의 6개의 호르몬이 관련해서 일어나, 어느 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하느냐에 따라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의 증상이 달라지게 됩니다.

발생 원인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의 원인으로는 뇌하수체 종양이 가장 많고, 그 밖에 특정 염증성 질환이나 뇌하수체로의 혈류 감소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종양 자체는 양성인 경우가 많지만, 정상적인 뇌하수체를 압박함으로써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을 일으킵니다. 또한, 뇌하수체 선종 수술이나 방사선 조사 외에, 외상 등으로 인해 뇌하수체의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뇌하수체뿐만 아니라, 두개 인두종이나 라트케낭포(Rathke Cleft Cyst)와 같은 뇌하수체 주위에 발생한 질병도 호르몬의 분비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한 면역 이상이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대부분은 유전과는 무관하지만, 혈연자에게 같은 병이 있는 사람이 있는 경우, 뇌하수체와 관련된 유전자의 이상이 영향을 주고 있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증상은?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중에서 큰 뇌하수체 종양이 원인인 경우에는, 시야, 시력에 장애가 생깁니다. 그 외, 분비량이 감소하고 있는 뇌하수체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양합니다. 가장 심각한 것은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의 분비 저하로, 심한 복통, 구토, 저혈압, 체중 감소, 피로감을 일으키는 부신부전증에 빠지는 것입니다. 식욕부진, 심각한 피로감, 근육통, 근력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 생명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부족하면 냉증, 체중 증가, 피부 건조 등이 일어납니다. 그리고 성장 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되면 아이의 성장 상태가 나빠지는 것 외에, 어른에서는 체지방의 증가나 근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황체화 호르몬, 난포 자극 호르몬은 성선 기능의 발달이나 성욕에 관련된 호르몬으로, 이 호르몬이 감소하면 여성에서는 무월경이나 불임, 남성에서는 성욕 저하나 발기 장애가 일어납니다. 프로락틴은 모유의 생산과 관련된 호르몬으로, 감소하면 모유의 양이 줄어들거나 나오지 않게 됩니다.

검사 및 진단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은 혈액 검사로 각종 호르몬의 혈액 농도를 측정하고, 어떤 호르몬의 분비량이 감소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그 밖에 소변 속의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기 위해 소변 검사를 실시하거나, 복수의 뇌하수체 자극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의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 CT나 MRI의 영상 검사를 실시합니다. 뇌하수체 선종 등의 종양이 보이는 경우에는, 종양의 확산 정도도 확인됩니다. 게다가, 뇌하수체 이외에도 병변이 확산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 심전도 검사에 의한 부정맥의 평가, 흉부 엑스선에 의한 림프절의 붓기의 평가, 안저 검사에 의한 포도막염 검사 등, 다방면에 걸친 검사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치료방법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은 주로 부족한 호르몬을 합성 호르몬으로 보충하는 것으로 치료합니다.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이 저하되면 부신피질 호르몬을 보충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되면 갑상선 호르몬을 약으로 내복합니다. 이 2개의 호르몬은 연령, 성별을 불문하고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호르몬입니다. 또한,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은 성장 호르몬은 신체의 성장뿐만 아니라 근육이나 지방 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부족한 경우에는 성장 호르몬을 보충하는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황체 호르몬이나 난포 자극 호르몬의 저하에 대해서는 성장 호르몬의 내복 혹은 주사에 의한 보충을 실시하게 됩니다. 이러한 호르몬 보충 요법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뇌하수체 선종의 경우에는 수술이 이루어집니다. 종양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경우 수술은 코를 통해 이루어진다. 증상에 따라 방사선이나 화학요법이 선택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