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이란? – 증상, 원인, 검사, 치료, 예방 가이드

자궁근종은 자궁벽에 생기는 혹 같은 양성 종양으로, 자궁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것입니다. 30~40대 여성에게 흔하며, 여성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자라지만 악성 종양으로 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증상은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다르며, 생리량 증가, 생리통 악화,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궁근종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종(myoma uteri)은 자궁벽에 생기는 혹 같은 양성 종양으로, 자궁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것입니다. 산부인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으로 30~40대 여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 호르몬이 영향을 미쳐 근종이 자란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종양의 크기와 발생 위치에 따라 증상이 다르며, 점막하 근종(자궁 내측), 근층내 근종(자궁 근육 내), 장막하 근종(자궁 외측)으로 나뉩니다. 악성 종양(자궁육종)으로 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자라도 주변 조직을 파괴하지는 않지만 불임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근종의 성장에 여성 호르몬이 관여하기 때문에 폐경 후에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인

근종이 생기는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난포 호르몬)이 근종의 성장에 관여하기 때문에, 유아부터 초등학생까지의 아이에게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고, 고등학생이나 대학생부터 드물게 나타나며, 30대 후반부터 40대에 급증합니다. 호르몬 분비가 왕성한 성숙기에 많이 발견됩니다.

증상

주요 증상으로는 생리량 증가와 생리통 악화가 있습니다. 그 외 증상으로는 빈혈, 심한 생리통, 빈뇨, 변비 등이 있지만, 아무런 증상이 없는 사람도 많습니다. 생리량이 많으면 빈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안색이 나빠지고 어지럼증, 현기증, 권태감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근종이 커지면 골반이나 내장을 압박하여 허리 통증이나 아랫배의 묵직함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생리 기간 외 출혈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종양이 생긴 위치에 따라 증상의 정도가 다릅니다.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는 자궁 근육 내에 생기는 ‘근층내 근종’은 작으면 무증상이지만 커지면 생리량이 늘어나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자궁 외측에 생기는 ‘장막하 근종’은 커져도 증상이 나타나기 어렵습니다. 자궁 내측에 생기는 ‘점막하 근종’은 작아도 증상이 심하고 생리량이 증가합니다. 또한 젊은 여성의 경우 임신이 어려워지거나 유산하기 쉬워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검사 및 진단

내진을 통해 모양, 크기, 통증 등을 확인합니다. 또한 초음파나 MRI 등의 영상 진단을 실시합니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근종의 정확한 위치, 개수, 크기를 파악합니다. MRI는 초음파로는 잘 보이지 않는 석회화된 근종이나 자궁 안쪽에 있는 근종, 여러 종류의 근종이 생기는 ‘다발성 근종’ 진단에 사용됩니다. 확진을 위해 필요에 따라 종양의 일부를 잘라내 악성 종양 여부를 검사하기도 합니다. 드물게 내부 구조가 복잡한 자궁근종처럼 보이는 것이 ‘자궁육종’이라는 자궁 근육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인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치료

경증인 경우 경과를 관찰하고, 출혈로 인한 빈혈이 있으면 철분제를 사용합니다. 증상이 어느 정도 심한 경우 수술이나 호르몬제를 이용한 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에는 자궁 전체를 들어내는 수술(자궁적출술)과 근종만 제거하는 수술(근종 절제술)이 있으며, 개복 수술 외에도 복강경 수술 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치료제로는 저용량 피임약을 이용한 치료와, 내복약, 비강 스프레이 또는 주사제를 사용하여 여성 호르몬 분비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자궁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을 막아 근종을 작게 만드는 치료법(자궁동맥색전술)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치료법 중에서 나이, 증상, 임신 희망 여부, 자궁 적출 가능 여부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방 및 치료 후 주의사항

구체적인 예방책은 없지만, 기초 체온표를 작성하고 생리통이나 생리량 변화에 주의하는 등 자신의 생리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리량은 개인차가 있지만, 자궁근종이 생기면 간 같은 덩어리가 나오거나 방치하면 근종이 성장하여 갑자기 출혈량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변화를 빨리 알아차리고 조기에 진료를 받는 것이 예방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자궁근종을 초기 단계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도 중요합니다.